자화전자에 대해 궁금하다.
자화전자에 대해 궁금하다.

어디서 들은 기업이긴한대
전자회사치곤 이름이 촌스러워 저장해놓았는데 궁금해졌다. 어떤 회사인지…
회사 개요
1987년 법인 설립된 자화전자는 Bonded Magnet 및 관련 부품 생산으로 시작하여,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용 핵심 액추에이터(Folded Zoom, OIS, AF Actuator)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주력 제품인 폴디드 줌 액추에이터는 5G·폴더블폰 시대 핵심 부품으로, 자기엔지니어링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기초소재에서 완제품까지 자체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업 분야 및 주요 고객
액추에이터 부품: 스마트폰 카메라의 줌·흔들림 보정·오토포커스를 구현하는 핵심 모듈을 생산합니다.
주요 고객사: 애플 아이폰15 프로맥스용 폴디드 줌 액추에이터 공급사 중 하나로, LG이노텍과 함께 하반기 물량의 약 30–40%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R&D 투자: 2022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약 1,910억 원을 신규 생산시설 확보에 투자했으며, 동탄연구소를 증설해 액추에이터 R&D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신 재무 실적
2024년 결산(연결 기준)을 기반으로 한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항목 | 수치
| 매출액 증가율 | +35.3% (YoY)
| 영업이익 | 흑자 전환
| 당기순이익 | 흑자 전환
| EPS | 750원
| BPS | 19,361원
| PER | 15.58배
| PBR | 0.60배
| 전일 종가 | 11,690원
실적 개선 배경: 통신기기용 부품 시장의 5G·폴더블폰 수요 확대, 차별화된 줌 기능 강화 트렌드가 매출 및 이익 확대를 견인했습니다
밸류에이션: 12개월 선행 PER(7.32배) 대비 낮지 않으나, 업종 PER(12.12배) 대비 다소 높은 편입니다
시장 전망
폴더블폰 확대
애플, 삼성전자 등 글로벌 제조사의 폴더블폰 라인업 강화 → 폴디드 줌 액추에이터 수요 지속 증가 예상
5G 및 차세대 통신 기기
5G 프리미엄 스마트폰 교체 수요 유지 및 AR·VR 기기 부품 시장 진입 기회
소재·공정 기술 고도화 필요
세라믹, 고분자, 금속 복합 소재 기술 요구 증가 → R&D 역량 및 생산 공정 안정성이 경쟁력 요소로 부각될 전망
경쟁 구도
국내 경쟁사: LG이노텍(업계 점유율 60–70%), 타 중소 부품사
글로벌 경쟁사: 일본·대만계 전문 부품업체
차별화 요소: 자기엔지니어링 기반의 자체 소재 개발 역량, Apple 공급 실적
투자 리스크
고객사 집중도
매출의 상당 부분이 애플향 폴디드 줌 액추에이터에 의존 → 고객사 전략 변화 시 실적 변동성 확대
밸류에이션 부담
업종 PER 대비 높은 폴디드 펙터가 존재하며, 경기·금리 변동 시 높은 PER이 꺾일 가능성 있음
기술 및 품질 경쟁
글로벌 경쟁 심화, 신기술 빠른 상용화 필요. R&D 효율성 및 공정 관리 실패 시 시장 점유율 하락 위험
결론 및 투자 의견
자화전자는 폴더블·5G 시대 핵심 부품인 액추에이터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애플 납품 경험을 바탕으로 성장 스토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고객사 집중 리스크, 상대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 글로벌 경쟁 심화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적극 투자 의견: 폴더블폰 시장 확대와 R&D 성과가 기대치 이상으로 실현될 경우, 현 주가 기준에서 추가 상승 여력 존재
보수적 투자 의견: 고객사 다변화, 밸류에이션 조정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분할 매수 전략 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