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대한민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시총 1000억원기준)

by 멋찐40대아저씨 2025. 6. 13.
반응형

대한민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시총 1000억원기준)


1. 삼성바이오로직스 (Samsung Biologics)

업종: 바이오의약품 CDMO (의약품 위탁 생산)
시가총액: 약 57조 원 (약 57 B USD) 


특징: 글로벌 수준의 위탁생산 역량 보유. 다국적 제약사 (Pfizer, GSK, Eli Lilly 등)와 협업 .

2. 셀트리온 (Celltrion, Inc.)
업종: 바이오시밀러 및 원천 바이오의약품
시가총액: 약 27–29 B USD (약 30조 원 이상)
특징: 세계 최초의 CD20·HER2 바이오시밀러 개발, 글로벌 판매. 최근 유럽·베트남 등 해외 CDMO 확장 

3. 알테오젠 (Alteogen Inc.)
업종: 바이오신약 개발 (특히 피하주사 기반 기술)
시가총액: 약 14.5 B USD (약 1.8조 원) 
특징: 장기간 지속형 주사제, ADC 및 바이오베터 분야에서 경쟁력.

4. 유한양행 (Yuhan Corporation)
업종: 순수 제약회사 (신약, 복제약 등)
시가총액: 약 6–6.6 B USD (약 8 조 원)
특징: 비소세포폐암 신약 Reclaza FDA 승인,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5. SK바이오팜 (SK Biopharmaceuticals)
업종: 중추신경계 CNS 치료제 개발
시가총액: 약 6.2 B USD (약 7–8 조 원) 
특징: 뇌전증·수면장애 등 영역에서 개발 성과와 미충족 수요 대응이 강점.

6. SK바이오사이언스 (SK Bioscience)
업종: 백신·바이오 제품 제조
시가총액: 약 2.5 B USD (약 3 조 원) 
특징: 안동 백신 공장, 글로벌 백신 CMO 인수 등 적극적 확장 추진 .

7. 한미약품 (Hanmi Pharm.)
업종: 혁신 신약 개발
시가총액: 약 2.3–2.4 B USD (약 3 조 원)
특징: 글로벌 제휴 기반 R&D, 바이오 신약 파이프라인 다수.

8. 프람파리서치 (PharmaResearch Co., Ltd.)
업종: 합성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시가총액: 약 2–3 B USD (약 2.6–3.8 조 원)
특징: CDMO 프로젝트 및 자체 개발 역량 보유.

📊 추가로 시총 1조 원대에 근접 또는 넘는 기업들
휴젤, 대웅제약, 한올바이오파마, GC바이오파마, 오스코텍, 씨젠, 메디톡스, 종근당 등은 시가총액 1조 원(약 0.8 B USD) 이상으로 분류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