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즘(Chasm)이란?
기술 제품이 주류 시장에 진입하기 전 넘어야 할 가장 큰 골짜기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이나 혁신적인 제품을 만든 기업들이 처음에는 꽤 빠르게 초기 사용자를 확보합니다. 하지만 그 이후 갑자기 성장이 둔화되고, 시장의 반응도 미적지근해지는 시점이 찾아옵니다.
바로 그 지점이 "캐즘(Chasm)", 즉 시장 확산의 간극입니다.
이 글에서는 캐즘 이론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1. 캐즘 이론의 배경
캐즘 이론은 미국의 기술 마케팅 전문가 **제프리 무어(Geoffrey A. Moore)**가 그의 저서 *"Crossing the Chasm (1991)"*에서 소개한 개념입니다.
이 이론은 원래 에버렛 로저스의 **기술 수용 주기(Technology Adoption Lifecycle)**를 기반으로 발전했습니다.
기술 수용 주기는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시장에 확산되는 과정을 다섯 단계로 구분합니다:
혁신 수용자(Innovators) - 새로운 것을 누구보다 먼저 시도하는 모험가들
초기 수용자(Early Adopters) - 비전이 강하고 리스크를 감수할 준비가 된 사람들
전기 다수층(Early Majority) - 검증된 기술만 수용하는 실용적인 대중
후기 다수층(Late Majority) - 보수적이고 대세가 되어야 따라오는 층
지각 수용자(Laggards) - 변화에 저항하며 끝까지 기존 방식을 고수하는 사람들
문제는 초기 수용자와 전기 다수층 사이의 간극이 생각보다 훨씬 크다는 점입니다. 무어는 이 간극을 **"캐즘(Chasm)"**이라 불렀고, 이 구간을 제대로 넘지 못한 수많은 기술 제품들이 시장에서 사라진다고 지적했습니다.
2. 왜 캐즘은 중요한가?
캐즘은 단순한 심리적 저항이 아니라, 소비자의 특성과 기대의 차이에서 기인합니다.
구분 초기 수용자 전기 다수층
성향 혁신 추구 실용주의
관심사 비전, 가능성 안정성, ROI(투자 대비 수익)
위험 허용도 높음 낮음
구매 결정 직관, 감성적 분석, 근거 중심
즉, 초기 수용자는 신기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좋아하지만, 전기 다수층은 실질적인 문제 해결과 안정성을 가장 중시합니다.
이 둘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마케팅 전략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스타트업이 초기 수용자에게는 통했지만, 대중 시장에서는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죠.
3. 캐즘을 넘는 전략
캐즘을 극복하려면 단순한 '제품 홍보'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제프리 무어는 **"니치 시장 집중 전략"**을 통해 캐즘을 넘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 1. 작은 틈새 시장(Niche Market)을 정조준하라
하나의 세분화된 실용 시장을 공략하세요. 예: 병원 내 방사선 기술 솔루션, 특정 업종 전용 협업툴 등
이 시장에서 절대 강자가 되어야 전기 다수층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습니다.
✔ 2.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하라
기술 자체가 아닌, **"무엇을 해결해주는가"**에 초점을 맞추세요.
전기 다수층은 기술의 멋짐보다는 비즈니스 성과를 원합니다.
✔ 3. 고객 성공 사례를 확보하라
레퍼런스 고객은 무엇보다 강력한 신뢰 요소입니다.
초기 니치 시장에서 만족한 고객을 확보하면, 이를 기반으로 전기 다수층이 따라옵니다.
✔ 4. 지속 가능성과 안정성을 강조하라
버그가 많은 MVP는 초기에 통할 수 있어도, 전기 다수층에게는 신뢰를 떨어뜨립니다.
제품 완성도, 고객지원 체계, 보안 등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4. 실제 사례: 캐즘을 넘은 기업 vs 넘지 못한 기업
<기업> <결과> <설명>
Slack 성공 초기 스타트업 집중 → 고객 성공 → 대기업 확산
Google Glass 실패 혁신에 초점만 맞춤, 실용성과 시장 이해 부족
Zoom 성공 틈새 시장(교육기관, 회의)에 집중 → 팬데믹 시 폭발적 성장
5. 마무리: 캐즘은 '죽음의 계곡'이 아니다
많은 창업자들이 기술만 좋으면 시장이 알아줄 것이라 믿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기술이 아닌 고객이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캐즘을 넘는다는 것은, 혁신에서 실용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만약 당신의 제품이 초기 수용자에게는 찬사를 받지만 더 이상 확산되지 않고 있다면, 지금이 바로 그 캐즘에 서 있는 순간일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전략을 다시 짜야 할 때입니다.
💡 한줄 요약:
캐즘은 혁신 제품이 초기 수용자에서 주류 시장으로 확산되기 전에 반드시 넘어야 할 실용주의자와의 신뢰의 간극이다. 이를 극복하려면 니치 시장 집중과 실질적 문제 해결이 핵심이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행(Overhang)이란? (1) | 2025.05.06 |
---|---|
ETF vs 펀드, 뭐가 다를까? (3) | 2025.05.06 |
전 세계를 뒤흔드는 악명 높은 해킹 조직들이 궁금하네. (6) | 2025.05.02 |
밸류체인이 뭘까요? (5) | 2025.05.01 |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를 말하다. (2) | 2025.05.01 |